1-1. 문제 제기
18-19세기 미국에서 태동한 환원운동은 본 강좌의 핵심 주제인 아카펠라 찬송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1] 환원운동은 예배와 삶의 원칙을 성경에서 찾고, 실천하는 신앙 운동이다. 이 운동은 역사적으로 스톤과 캠벨을 통해 발화한 것으로 인식되며, 이런 의미에서 스톤-캠벨 운동이라고도 부른다. 초기 환원 운동가들은 초대교회 복원(환원)과 성경으로 일치라는 목표를 통해 크게 성장하였다.[2] 이들의 환원(restoration)과 일치(unity)의 운동은 성경이 말하는 것을 말하고, 침묵하는 것은 함께 침묵하겠다는 관점 안에서 실천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침묵의 법(law of exclusion)이라고 한다. 환원운동에서 성경의 침묵은 곧, 금지로 인식된다.[3]
종교개혁 당시 가톨릭 교회의 부패는 개혁 운동의 원인이 되었다.[4] 루터와 칼뱅의 개혁은 기울어진 교회에 경종을 울렸고 많은 신앙인에게 도전이 되었다. 하지만 환원 운동가들에게 있어 개혁교회 운동은 여전히 성경과 거리가 있다고 여겨졌다. 대각성 운동의 분위기 속에서 환원운동은 교회 제도 회복과 예배 갱신, 그리고 성경적 구원관을 회복하기 위해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창하였다.[5]
초기 환원 운동가들은 신약성경에 근거하여 예배 시 악기를 배제하였다. 구약 성경의 제사 제도에서는 찬송 시 기악 사용을 명확히 명령하고 있다. 그러나 신약성경에서는 예배 시 악기 사용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6] 이러한 침묵은 그들의 예배 갱신에 악기를 침묵하게 하였다. 하지만 당시 환원운동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이 같은 의견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침묵을 금지로 보지 않고 긍정으로 해석하려는 시도는 기악 찬송의 근거가 되었고 이러한 의견 차이는 교회의 분열을 가져왔다. 이에 한 뿌리에서 시작된 환원운동 교회는 1875년 두 개로 나뉘게 되었고 1906년 공식적인 집단이 되었다.[7]
이후 악기를 배제한 아카펠라 찬송을 예배에 실천한 교회들을 그리스도의교회(The Churches of Christ), 또는 아카펠라 교회(A Cappella Church)라고 하였다. 그들은 아카펠라 찬송을 다른 세속 종교로부터 구별된 초대교회의 유산으로 여겼다. 그리스도의교회는 1990년 기준으로 전 세계 4만개 이상의 교회가 있으며 미국에 약 13,000개의 교회가 있다. 그중 미국 성도는 약 130만명이며 미국 이외 교인 수는 약 100만명 이다.[8] 한국 그리스도의교회는 1930년 동석기에 의해 세워진 북청 함전 그리스도의교회를 시작으로 한국에 뿌리내렸다. 한국 그리스도의교회는 2018년 기준 약100여 개가 있다.[9] 그중 소수의 그리스도의교회가 악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찬송을 부르고 있으며, 나머지 상당수의 교회가 부분적, 혹은 전반적으로 악기를 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이처럼 한국 그리스도의교회 찬송 문화가 산발적인 것은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그것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자면 첫째, 아카펠라 찬송 신학의 부재이며, 둘째, 아카펠라 찬송에 대한 실천적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카펠라 찬송은 긴 역사와 전통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에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 교회의 찬송이 기악 찬송을 중심으로 발전, 계승하였기 때문이다. 한국 교회들의 찬양 문화는 피아노와 오르간, 클래식 악기들을 통해 발전되었고, 이후 기타, 드럼, 신디사이저 등을 활용한 밴드팀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지금은 ‘EDM’과 같은 전자음악까지 활용되는 상황이다.[11] 한국 교회는 찬송의 본질과 회중성을 예배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교회 성장주의 신학이 교회에 적용됨에 따라 교회가 대형화되고 메이커화 되어가는 현실 속에서 찬송 발전은 기능과 효과에 치중된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여기서 기능이란 찬송 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의미하며, 효과란 찬송을 통해 얻어지는 ‘회중의 반응’을 말한다. 이러한 발전은 다양한 음악 활용과 찬양팀의 조직력 향상, 그리고 고도화된 찬송 인도법 등을 교회가 소지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웨버는 현대 교회 찬송에 나타난 자기중심주의(narcissism) 문화에 대해 경계하였다. 그는 자기중심주의 문화에 영향을 받은 찬송이 회중들로 하나님이 아닌 자신에게 관심을 갖게 하였다는 것을 비판하였다.[12]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현대 교회의 찬송이 하나님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이 되었다는 것과 하나님께 드려져야 할 찬송이 사람의 감정과 심리적 안정감을 찾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성경적 찬송 신학과 그에 따른 실천적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현대 교회의 찬송 문화 개선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나아가 미국 아카펠라 교회 찬송 신학 연구와 활용법 등은 한국 교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하다. 따라서 국내 아카펠라 찬송 교회는 미국 아카펠라 찬송 신학과 활용법 등을 참고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랑케스터(Keith Lancaster) 전도자가 대표로 운영하는 The Acappella Company는 기존 찬송 4부 악보와 찬송 PPT, 그리고 새로운 찬송 곡을 서비스 해준다.[13] 또한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아카펠라 찬송 지도자를 양성한다. 최근 그들이 운영하는 프레이즈 앤 하모니(Praise and Harmony)는 양질의 아카펠라 찬송 영상을 실시간으로 애플 티비 등을 통해 가정에 제공한다. 이런 일을 위해 랑케스터와 함께하는 아카펠라 컴퍼니의 전문 음악인들은 약 300명에 이른다. 미국 아카펠라 교회는 이런 실천적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교회 찬송을 돕고 있다.
본 강좌는 그리스도의교회에서 실천해야 할 아카펠라 찬송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다양한 문제의식 바탕으로, 찬송 신학의 연구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제안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자 한다. 본 강좌에서는 아카펠라 찬송 실천에 있어 두 가지의 문제를 제기한다. 그것은 아카펠라 찬송의 인식 부재와 활성화 프로그램의 부재이다. 이 강좌는 이러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성경적 아카펠라 찬송 연구 및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1] Douglas A. Foster, ed., The Encyclopedia of the Stone-Campbell Movement: Christian Church (Disciples of Christ), Christian Churches/Churches of Christ/Churches of Christ. (Grand Rapids, Mich: W.B. Eerdmans Pub, 2004); 번역위원회 역,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5): 481.
[2] Douglas A. Foser, The Story of Churches of Christ, 전인수 역, 『환원운동사 이야기』 (서울: 쿰란출판사, 2015), 11.
[3] Edward C. Wharton, The Church of Christ: The Distinctive Nature Of The New Testament Church (Nashville: The Gospel Advocate co, 1997), 153.
[4] Diarmaid MacCulloch, The Reformantion A History, 이은재 외 역, 『종교개혁의 역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39-99.
[5] Foser, 『환원운동사 이야기』, 13.
[6]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481.
[7] Richard Tristano, The History and Origin of The Restoration Movement, 기준서 역, 『환원운동의 역사와 근원』 (서울: 그리스도대학교 출판국, 2005), 197.
[8] Douglas A. Foster and Gary Holloway, Renewing God's People: A Concise History of Churches of Christ, 백종구 역, 『하나님의 백성을 새롭게』 (서울: 쿰란출판사, 2005), 170.
[9] 전인수, “환원운동과 그리스도의교회”, 케이씨대학교 교수 논문집, (케이씨대학교출판부, 2018 vol. 18(2018), 147.
[10] 그리스도의교회 무악기 소속 교회에 악기 사용 유무를 서면으로 조사하는 것은 개교회 지도자들의 공개하고 싶지 않은 사적인 부분(private)이라고 판단되어 정확한 조사에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대략 20% 내외 정도가 무악기 아카펠라 찬송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수치는 10년 이상 그리스도의교회 아카펠라 찬송 사역을 담당한 필자의 경험적 판단과 직, 간접적 인터뷰를 통한 대략적인 수치임을 밝힌다.
[11] 김성배, “현대 예배음악에 사용된 대중음악적 표현양식에 대한 음악미학, 사회학적 해석 적용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vol. 67(2019): 67-70.
[12] Robert E. Webber, Ancient-Future, 이승진 역, 『하나님의 구원 내러티브의 구현 ‘예배학’』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11),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