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MG_1369_edited.jpg
  • 유튜브
  • 페이스 북 사회 아이콘

2 예배 찬송의 의미와 역사

2-3 환원운동과 아카펠라 찬송

3. 환원운동과 아카펠라 찬송

본 장에서는 먼저 환원운동을 개관할 것이며 이어 환원운동의 아카펠라 신학을 살펴볼 것이다. 현대 환원운동에서 아카펠라 찬송 신학은 퍼거슨의 연구가 가장 보편적인 찬송 개념을 제공한다. 특히 헬라어 프살로 어원의 해석은 악기 논쟁의 주요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아카펠레 찬송 논쟁들을 살펴본 후 1805년 스미스(Elias Smith)의 찬송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환원운동에서 주로 사용된 찬송집에 대해 살펴볼 것인데, 워커(Wayne S. Walker)의 찬송가의 역사 정리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1) 환원운동

역사적으로 환원운동(Restoration Movement)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엽 스톤(Barton W. Stone) 그리고 부자(父子) 관계인 토마스 캠벨(Thomas Campbell)과 알렉산더 캠벨(Alexander Campbell)에 의해 미국에서 발생한 운동을 말한다.[1] 환원운동은 이러한 배경에서 스톤캠벨 운동(Stone-Campbell Movement)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역사 신학자 전인수는 환원운동이 발화할 당시 사회적 분위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당시 미국은 영국에서 독립한 신생국으로 민주화, 자유, 개인주의를 강조하고 전통을 재해석하려는 분위가 팽배했다. 동시에 미국 교회는 유럽에서 전파된 다양한 교파, 그리고 미국에서 새롭게 생겨난 교파들이 난립하여 갈등이 지속적으로 증폭되고 있었다.[2]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환원 운동가들은 신약성경으로 돌아가는 것만이 교회가 하나 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보았고, 교회의 일치를 위해 성경의 계시에 따라 교회와 예배의 회복을 강조하였다. 스프링필드 장로회의 유언과 증언은 스프링필드 장로회의 유언서로 1804년 6월 28일 지방 노회의 해체를 선언하였다.[3] 그들은 당시 개교회 이외의 상위 조직이나 기구들을 비성경적인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성경 이외에 어떤 신조도 용납하지 않았다. 성경 해석에 있어 환원 운동가들은 침묵의 법(law of exclusion)을 채택했는데, 침묵의 법은 그들의 찬송에서 기악을 제거하고 육성 찬송을 실천하게 하였다.[4] 나아가 환원운동 초기부터 사용되었던 구호인 본질에는 일치를, 비본질에는 자유를, 매사에는 사랑으로(In Essentials Unity: In Non-Essentials Liberty: In All Things Charity)는 여전히 현대 환원운동 교회들에 신앙의 모범이 되고 있다. 트리스타노(Richard Tristano)는 진리의 동기(Truth Motive)와 일치의 동기(Unity Motive)가 환원운동을 촉발하게 했다고 하였다.[5] 여기서 진리란 신약성경을 말한다. 환원운동은 믿음과 실천의 동기로 신약성경을 강조한다. 환원운동에 이런 개념은 종파, 교단, 그리고 성직자들의 선언과 신학적 논쟁을 제거한다. 이런 의미에서 환원운동은 원래 하나였던 것을 나누고 쪼개는 교파 주의를 거부한다.[6] 다음은 환원운동에서 참된 교회를 이루기 위해 채택한 방법론의 개념을 얻기 위해 휴즈(Richard T. Hughes)의 교회적 원시주의(Ecclesiastical Primitivism), 윤리적 원시주의(Ethical Primitivism) 그리고 복음적 원시주의(Gospel Primitivism) 등을 살펴볼 것이다.[7]  

 

첫 번째, 교회적 원시주의는 종교개혁자들이 보여줬던, 중세교회의 역사적 유품들과 제도들을 폐지하고 초대교회의 형태와 체계를 복원해야만 한다는 것으로 초기 환원 운동가들은 예배의 본질과 비본질의 차이를 구분하여 거룩한 입맞춤, 여집사, 공동생활, 세족식과 은사적 경험들을 거부했다.[8] 그러나 회중의 자치, 매주 주의 만찬과 구원의 침례를 강력히 주장하였다.[9]

 

두 번째 윤리적 원시주의는 초기 환원 운동가들이 이면적 교회의 모델이 아닌 윤리적 모델을 강조한 것으로 이웃을 사랑하고 보살핌을 교회의 본질로 보았는데, 스톤은 자신의 노예에게 자유를 주었고 재산을 불우한 이웃에게 나누어 주었으며 폭력을 거부했다.[10]

 

세 번째, 복음적 원시주의는 루터의 모델에서 찾을 수 있지만 환원운동과는 차이가 있다. 루터가 정립한 복음은 인간의 공로가 아닌 하나님의 은혜을 강조하며, 하나님은 인간이 의롭지 않아도 믿음과 구원에 확신에 의해 구원을 베푸신다는 것이다.[11] 환원운동 안에서 정립된 복음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해 긍정하지만, 개혁교회의 자유의지론과 차이가 있는데, 특히 세례에 대해 더욱 그러하다.[12] 환원운동 신학자 코츠렐(Jack W. Cottrell)은 성서적 환원운동 신학의 관점에서 구원론을 정리하였다. 그는 인간은 구원하는 은총을 받고 간직하기 위해 믿음과 회개, 그리고 고백과 세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13] 코츠렐에 의하면 세례는 과거의 죄의 용서에만 유효한 것이 아니며,[14] 율법이 아닌 복음의 명령으로써 이해된다.[15] 마지막으로 환원운동의 목표를 정리하자면 환원과 일치라 할 수 있다. 환원운동은 하나되기 위한 방법을 성경에서 찾는 신앙운동이다. 환원운동은 인위적인 조직을 거부하며, 성직 제도를 부정하고, 만인 제사장을 주장한다. 성경에서 말하는 것은 말하고, 말하지 않는 것은 함께 침묵한다는 의미인 침묵의 법은 아카펠라 찬송의 형태를 채택하게 하였다. 환원운동의 세례는 특별하여 하나님께서 주신 인간에 구원의 여정 가운데 하나로 인식하며, 매주 주의 만찬을 실천하는 것이 특징이다.

 

2) 환원운동의 아카펠라 찬송 신학

알렉산더 캠벨은 당시 오르간 찬송에 크게 반응하지 않았는데, 그것은 오르간이 예배의 일부가 될 가능성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6] 그는 시편과 찬송을 즐겨 불렀고 합창단을 인위적인 것으로 여겨 대리 찬송(singing by proxy) 개념으로 회중 찬송을 변호하였다.[17] 환원운동사에서 최초의 기악 반대 기록은 1856년 패닝(Tolbert Fanning)에 의해서이며, 윌번(James R. Wilbum)은 그의 책 The Hazard of the Die에서 패닝이 예배 시 오르간과 바이올린 그리고 합창단을 반대했다고 전했다.[18] 크리스토퍼 박사(Dr. H. Christopher)는 1867년 "Lard’s Quarterly"에서 회당 예배와 초기교회의 악기 배제 현상을 근거로 그리스도의교회에 기악 사용을 반대하였다.[19] 그는 초기교회 증언자 크리소스톰(John Chrysostom)의 글을 인용하여 세속적인 것을 중단하고 모든 성도가 함께 찬송에 동참하길 권면했다.[20]

 

환원 운동가 스미스(F. W. Smith)는 예배의 개념에 종속된 찬송은 영과 진리(요4:24) 안에서 음악이 제한되어야 한다고 했으며, 이러한 관점은 예배음악에 성경적 근거를 요구하게 되었다.[21] 환원운동 아카펠라 신학의 요점은 신약성경의 원리와 침묵 해석의 원리, 그리고 회중 중심의 원리 등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원리가 확고해짐에 따라 반대 의견도 거세졌다. 

 

첫 번째 환원운동에서 아카펠라 찬송의 근거는 신약성경이다. 신약성경 안에서 아카펠라 찬송 논쟁에 가장 중요한 쟁점은 헬라어 프살로인데, 퍼거슨은 프살로 논쟁에 대해 어의적, 사전적인 논의를 할 때 주로 논란이 되어 왔다고 했다.[22] 2장 프살로 어원에서 살펴본 것처럼 그 의미는 ‘시를 노래하다’, ‘찬양하다’이지만, 기악 찬송 사용자들은 프살로가 ‘현을 당기다’, ‘연주하다’라는 의미가 포함됐기 때문에 악기를 찬송에 포함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환원운동에서 프살로 논쟁에 핵심적 역할을 한 사람은 1911년 커피스(M. C. Kurfees)이다.[23] 그의 책 Instrumental Music in the Worship or the Greek Verb Psallo에서 다음과 같이 프살로에 대해 설명한다. 그는 그리스 문학에서 프살로는‘털(hair)을 뽑다’, ‘활시위를 돌리다’, ‘목수가 줄을 비틀다’, ‘기악 연주 음악을 만드는 것’[24], 그리고 다섯 번째는 ‘찬송을 부르는 것’[25]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의미 중 다섯 번째 의미는 찬송의 의미와 가장 일치하며, 개념적으로 한 흐름을 가지고 있다. 프살로에 대한 커피스의 요점은 “단어(프살로, 프살모스)의 어원과 상관없이, 이 용어들은 신약에서 진심으로 부르는 음성 음악을 지칭할 때만 사용되었다는 것”이다.[26] 퍼거슨는 프살로에 역사적 고전들의 용례를 자세히 살펴 연구하였는데, 고대 헬라문학과 클레멘트 등에서 프살로의 사용은 악기 사용의 용례가 아니라 목소리로 노래한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27] 프살로는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노래하다’, ‘찬송하다’의 의미를 쓰는데, ‘어떤 악기를 연주하다’로 쓸 때는 꼭 앞에 어떤 악기인지 악기의 명을 동반한다. 그러므로 프살로의 단독사용법의 악기에 대한 용례는 사람의 목소리가 연주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베일즈(James D. Bales)는 신약은 구약에 비해 매우 영적이기 때문에, 생명 없는 악기가 그리스도인들의 순전한 마음이 담긴 육성 찬송을 대처할 수 없다고 하였다.[28]

 

두 번째, 환원운동의 아카펠라 찬송의 근거는 침묵의 법(law of exclusion)이다.[29] 프리드 하드먼 대학에서 주최한 악기 토론에서 기악 사용을 주장하는 스위트먼은 신약성경에 침묵의 법은 명백히 위법이라고 주장한다.[30] 스위트먼은 복음주의적 구원관 즉, 믿고 구원받는 문제가 아니면 침묵을 허용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기악 찬송 반대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일관성 없는 비논리적 성경 해석이라고 지적했다. 맥칼리스터(Lester G. McAllister)와 타커(William E. Tucker)는 찬송 중 악기 사용을 문화적 접근 방식으로 설명하려 하였다.[31] 그러나 환원운동은 문화를 성경의 가르침 아래로 인식하는데, 성경은 예배 실천의 유일한 근거이며 우선 되어야 할 모범이다.[32] 파르(David R Pharr)는 히브리서 7장13-14절에서 모세가 유다 출신의 제사장을 승인하지 않는 이유는 하나님의 침묵에 이유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33] 나답과 아비후도 하나님께서 명령하지 않는 다른 불을 사용해서 죽었다(레10:1-2). 파르는 이들의 죽음에 대해 특별히 금기 사항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에 허용되는 지침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34] 이처럼 환원운동은 성경에서 침묵하는 것을 과감하게 하지 않고 성경에서 명령하는 것을 상고하는 실천적 교회이다. 

 

 

세 번째, 환원운동에서 아카펠라 찬송은 회중 중심의 원리에 의해 기획되었다고 할 수 있다. 회중 중심의 원리란 보편성과 평등성의 개념 안에서 해석될 수 있는데, 찬송은 특별한 사람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누구나 함께 누리고, 부를 수 있는 성도의 권리로 이해돼야 한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초기교회 예배의 기틀이 된 회당과 다락방 예배는 구약 찬송과 다르게 회중 중심의 찬송을 실천하였다. 초기교회에 찬송의 모범을 따라 종교 개혁자들도 찬송의 회중성을 강조하여 성도들이 찬송을 부르게 하였다. 초기 환원 운동가들은 찬송 중 독창자와 같이 특별한 사람을 제거하고 모든 회중이 한목소리로 찬송하도록 하였는데, 성경에 근거한 회중 찬송을 회복하기 위해 성가대와 찬양팀 등을 거부하였다.[35] 기악 찬송 안에서 악기는 회중의 찬송을 돕는 역할로 인식되는 반면, 환원운동 안에서 기악은 찬송에 방해 요소로 인식된다.[36] 캠벨은 “자신 안에 신앙심이나 영성이 없는 사람들은 악기를 원하고 필요하다고 여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영적인 마음을 지닌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러한 도구는 음악회에서 카우벨(cow bell: 소목에 다는 금속 방울)을 보는 것과 같을 것이다.”라고 하였다.[37] 이처럼 환원 운동가들은 대체로 기악 찬송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38] 화이트헤드(Paul R. Whitehead)는 하나님께서는 성도의 음악성과 상관없이 찬송을 기뻐하신다고 했으며, 기악을 통해 찬송의 음악적 질이 좋아진다면 누구의 기쁨이 되고, “누구 보기에 좋아진다는 것인가?”라고 반문하였다.[39]퍼거슨은 구약시대에는 수금과 비파, 소고 등의 악기가 사용되어 하나님께 제사 드렸지만(대상 23:5, 대하 29:20-36, 사5:2), “신약시대에는 구약적인 제사의 폐지로 악기 반주도 사라졌다”고 하였다.[40]  따라서 환원운동 안에서 기악은 구약시대의 제사 제도와 함께 폐지된 것으로 인식되며, 신약성경의 원리에 따라 구원받은 성도들의 순전한 목소리로 고백하도록 실천되었다. 

 

환원 운동가들은 신약성경을 예배의 모범으로 규정하였는데, 신약성경에서 기악 사용에 대해 명령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육성 찬송의 근거가 되었다.[41] 하지만 요한계시록의 악기에 대한 언급은 때때로 기악 사용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요한계시록 14장 2절의 구절은 다음과 같다. “내가 하늘에서 나는 소리를 들으니, 많은 물소리와도 같고, 큰 우렛소리와도 같은데, 내가 들은 소리는 거문고 타는 자들이 그 거문고를 타는 것과 같더라”. 이 구절에서는 거문고라는 악기가 등장한다. 환원 운동가들은 이 구절을 비롯한 계시록의 악기에 대한 언급들은 상징적 표현임으로 기악 찬송에 근거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42] 구절을 자세히 살펴보면 ‘거문고 소리가 아니라’, ‘거문고를 타는 것과 같은 소리’이다. 만약 이 구절을 거문고 소리로 인식된다면, 많은 물소리와 큰 우렛소리도 찬송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원리라면 계시록 5장 8절에 향이 기도라고 했는데, 기도 시 향을 피워야 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도 있다.[43] 퍼거슨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악기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천사들의 목소리는 현악기에 비유되고(계14;2-3), 악기는 찬송을 상징하며(계15:2-3), 향은 기도를 상징한다(계5:8-9)”.[44] 이와 같은 이유로 환원운동 안에서 요한계시록의 악기 표현은 기악 사용의 근거로 인식되지 않는다. 

 

초기교회에 있었던 핍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기악을 찬송에 사용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의견은 때때로 환원운동의 아카펠라 찬송의 당위성을 약화시킨다. 핍박의 시대를 살았던 초기교회 성도들의 역사적 증언들은 현대를 사는 신앙인들에게 참신앙에 대해 가르쳐주었다. 환원운동은 교회 역사의 위대함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성경을 신앙의 최우선 된 모범으로 취한다. 환원운동 교회들이 인식하고 있는바, 성경의 권위가 교회들에게 요구하는 세 가지 방식(CENI)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약성경에 나타난 명시적인 명령(command)과 둘째, 사도적 본보기(example), 셋째, 필연적 추론(necessary inference) 등이다.[45] 이러한 원리에 따라 환원운동 교회는 신약성경의 범위 안에서 예배 찬송의 방법을 찾아 실천한다. 그러므로 환원운동 교회들은 찬송의 원리를 교회사가 아닌, 성경이 인정하는 범위 안에서 결정한다.[46]에드워즈는 “성경은 권위를 갖고 우리를 가르치면서 우리가 행하여야 하는 행동의 범위를 정해 준다”고 하였다.[47]  퍼거슨은 “초기교회 문헌은 기독교 초기 역사 1000년 동안은 교회에서 악기가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증언한다.”라고 하였다.[48] 만약 초기교회가 핍박 때문에 악기를 일시적으로 못 쓴 것이라면 왜 교회사 1000년 동안 악기가 찬송에 사용되지 않았는지 의문점이 생긴다. 교부들에 관해 광범위한 연구를 한 맥키넌(James William Mckinnon)은 “초대교회 교부들은 거의 만장일치로 악기에 대해 적대감을 나타냈다”고 했다.[49] 벨레츠(Egon Wellesz)는 그의 책, 고대와 동방의 음악에서 “초기교회의 음악이 거의 전적으로 성악이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50]

 

초기 환원운동의 찬송 신학은 악기를 배제하고 육성 찬송을 드렸다. 미국 그리스도의교회는 1850년부터 1906년의 기간 동안 85% 이상의 교회들이 악기를 사용하기 위해 분열을 선택했다.[51] 분열을 이후 무악기 그리스도의교회는2000년 기준 전 세계 230만명의 성도로 성장하였다.[52] 환원 운동가들이 찬송에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아주 간단한데, 그것은 신약성경에서 명령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다양한 연구자들을 통해 아카펠라 찬송 신학이 더욱 깊이 있게 연구되어 교회들이 영성 있는 찬송을 쉽고 즐겁게 부를 수 있길 기대한다.

3) 환원운동에서 사용된 찬송집

그림1.jpg

[그림 02][53]

 아카펠라 찬송은 환원운동 예전에서 매주 실천하는 주의 만찬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History of Our Hymnbooks"는 "Faith & Facts" 저널에 실린 워커(Wayne S. Walker)의 글로 환원운동에서 사용된 찬송가 모음집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인 찬송집의 발달 과정을 서술하기 위해 워커의 글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워커의 기록에 의하면 첫 번째 찬송집은 [그림02]에서 볼 수 있는 1805년 버몬트 주의 스미스(Elias Smith)에 의한 찬송가 모음집이다.[54] 1810년 켄터키에서 스톤과 동역했던 퍼비언스(David Purvience)는 기독교 찬가(The Christian Hymnbook)를 출판했고 1818년 오켈리(O'Kelly)와 함께 동역하던 헤거드(Rice Haggard)는 켄터키에서 캠벨과 함께 크리스천 찬송 모음집(A Selection of Christian Hymns)을 출판했다.[55] 이후 스미스와 동료였던 포스트(Robert Foster)는 찬송, 근원과 모음집(Hymns, Original and Selected)을 출판하였고 1828년 포스트는 캠벨과 함께 시편과 찬송들, 그리고 영적인 노래들(Psalms, Hymns, and Spiritual Songs)을 출판하였다.[56] 1829년 스톤은 크리스천 찬송을 출판하였으며, 1832년 캠벨과 스톤이 연합하여 시편과 찬송들, 그리고 영적인 노래들을 함께 출판하게 됐다. 이 시기 캠벨과 동역자들[57]사이에는 찬송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었는데, 

 

캠벨은 교회들이 더 오래되고, 더 위엄있는 옛 찬송을 부르길 원했다. 그러나 다수의 동역자들은 새로운 스타일의 찬송인 가스펠(Gospel Song)[58]의 매력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으로 인하여 캠벨과 교회들 사이에 찬송집 경쟁(Competition for hymnbooks)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1839년 캠벨의 가장 가까운 동역자 스콧(Walter Scott)는 새로운 스타일의 가스펠 찬송을 적용한 크리스천 시편과 찬송들(Christian Psalms and Hymns)을 출판하였다.[59]  음악 교사 아버지를 둔 스콧은 플루티스트(Flutist)로서 예술적 감각이 상당히 뛰어났다. 그는 가수이며 전도자인 헤이든(William Hayden)과 함께 전도 여행을 자주 다녔는데, 찬송은 그들의 복음 전도에 중요한 요소였다.[60] 이후 1849년에 결성된 미국 기독교 선교회(American Christian Missionary Society)는 캠벨을 1대 회장으로 세우고 설립되었다.[61] 미국 기독교 선교회는 1866년 캠벨의 사망 이후 캠벨의 찬송가를 개정하기 위해 에렛(Isaac Errett)이 이끄는 찬송 위원회를 결성하여 개정 출판하였다.[62] 지금까지의 모든 찬송집들은 악보 없이 가사로만 출판되었는데 헤이든(Amos Sutton Hayden)은 1875년 캠벨의 가사에 곡조를 추가하여 크리스천 찬송가: 찬송들과 선율의 선곡집(The Christian Hymnal: A Choice Collection of Hymns and Tunes)이 발표되었다.[63] 또한 헤이든은 모양음표(Shape Note)를 사용한 악보를 모아 거룩한 멜로디언(The Sacred Melodeon)[64]을 출판했는데, 이것은 당시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해 사용되었다.[65] 교육적 측면과 쉬운 음악적 접근성 때문에 사용하게 된 모양음표는 이후 환원운동에서 사용된 4부 찬송 악보집에 독특한 특징이 되었다. 

 

19세기 후반 환원운동교회에는 두 가지 이슈 선교회(Missionary Society)와 예배에 악기 사용은 환원운동 교회들의 대립에 원인이 되었다. 이후 이것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 교회들을 그리스도의교회(The Churches of Christ)로, 긍정적인 입장은 그리스도인 교회(Christian Church)로 구분하였고 1906년 미국 인구 조사국에 의해 분열을 공식화하였다.[66]이러한 이슈에 문제들로 야기된 신학적 차이들은 찬송 모음집에도 나타났는데, 이에 1889년에서 1914년 사이에 발행된 에드버켓(Advocate)의 8권의 찬송집은 전도자들과 음악 전문가들이 연합하여 제작하였다.[67]

 

20세기 초 가장 인기 있는 찬송집은 1938년 새 경이로운 노래들(New Wonderful Songs)이었는데, 당시 찬송집에 대한 뜨거운 반응은 Trio Music Company와 Quartet Music Company, 그리고 Will W. Slater published 등과 같은 독립 출판사들(Independent Publishers)의 경쟁적 출판에 원인이 되었다. 찬송 창작자 겸 전도자였던 테들리(Tillit S. Teddlie)는 61년 동안 학교에서 노래를 가르쳤고, 130곡을 작곡하였으며, 14권의 찬송집을 출간하였다.[68] 1921년 그의 교회의 위대한 노래들(Great Songs of the Church)은 이후 20년간 전국 아카펠라 교회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찬송집이였다.[69] 1956년 크럼(Ellis J. Crum)은 교회를 위한 신성한 선택(Sacred Selections for the Church)을 발표했는데 이 찬송집은 당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찬송집이다. 이후 1971년 하워드(Alton Howard)가 발간한 교회의 노래들(Songs of the Church)도 많은 교회들에게 선택되어 사용된 찬송집이다. 맥캔(Forrest H. McCann)은 1986년 에빌린 대학(Abilene University Press) 출판부를 위해 위대한 노래(Great Songs)를 편집했지만 모양음표(Shaped Notes)를 사용하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1987년 스티븐스(R. J. Stevens)는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예배를 위한 찬가(Hymns for Worship)를 출판되었다. 1990년 하워드(Alton Howard)는 21세기 교회의 노래(Songs of the Church, 21st Century Edition)를 출판했고, 1992년 랜드(John Wiegand)는 주님에 대한 찬양(Praise for the Lord)을, 1994년 알튼 하워드는 믿음과 칭찬의 노래(Songs of Faith and Praise)를 출판하였다. 나아가 20세기 환원운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찬송 창작자로는 브록(Virgil P. Brock), 브럼리(Albert E. Brumley), 샌더슨(L. O. Sanderson), 테일러(Austin Taylor), 테들리(Tillit S. Teddlie)등이 있다.[70] 환원운동 교회들 중 대표적인 기독교 음악가는 놀라우신 하나님(Awesome God)의 멀린스(Rich Mullins)와 You Lift Up My Life의 분(Debby Boone), 그리고 El Shaddai의 그랜트(Amy Grant)가 있다.[71]

 

지금까지 살펴본 찬송가 모음집의 역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정보를 제공한다. 첫째, 환원 운동가들은 공통적으로 찬송가 창작과 찬송집 발간에 큰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다. 둘째, 환원 운동가들은 전문 음악가 혹은 음악성 있는 전도자들과 긴밀하게 동역했다는 사실이다. 셋째, 환원 운동가들에게 찬송은 교회의 분열을 감수할 수 있을 만큼의 큰 이슈였다는 것이다. 

[1] 전인수, “환원운동과 그리스도의교회,” 󰡔케이씨대학교 교수 논문집󰡕 vol.18 (2018): 223. 이후로 토마스 캠벨에 대한 표기가 없는 한 알렉산더 캠벨이며 표기는 캠벨로 한다.

[2] Ibid., 224.

[3] 조동호, 󰡔환원운동󰡕 (서울: 그리스도의교회 연구소, 2017), 170.

[4] Freed Hardeman University, ed., 17.

[5] Tristano, 6.

[6] Ibid., 7.

[7]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844-47.

[8]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844.

[9] Ibid.

[10] Ibid., 845.

[11] Alister McGrath, Historical Theology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소기천 외 역, 『신학의 역사』 (서울: 지와사랑, 2001), 309-13.

[12]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846.

[13] Jack W. Cottrell, Set Free, 정남수 역, 『성서의 은총론: 우리를 자유케 하시는 하나님』 (서울: 쿰란출판사, 2012), 292.

[14] Cottrell, 436.

[15] Ibid., 319.

[16] Choate and Woodson, 5.

[17] Ibid., 4.

[18] James R. Wilbum, The Hazard of the Die: Tolbert Fanning and the Restoration Movement (Malibu, CA: Pepperdine University Press, 1980), 72-3.

   Dave Miller, Singing and New Testament Worship (Abilene, Tx: Quality Publications, 1994), 4. 재인용 

[19] H. Christopher, "On Instrumental Music in Churches of Christ," Lards Quarterly, vol. 4(1867): 368.

[20] Ibid., 376.

   번역하여 요약한 본문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It was the ancient custom, as it still is with us, for all to come together and unitedly join in singing. The young and the old, the rich and the poor, male and female, bond and free, all join in one song. All worldly distinctions here cease, and the whole congregation forms one general chorus. This interesting part of their worship was conducted in the same simplicity which characterized all of their proceedings. All unitedly sang their familiar psalms and hymns; each was invited at pleasure, and according to his ability, to lead the devotions in a sacred song indited by himself. Such was evidently the custom in the Corinthian Church, and such was still the custom in the age of Tertullian.? These extracts establish the fact that instrumental music was not used in the church as late as A.D. 400, the age of Chrysostom."

[21] Smith, 2.

[22] Ferguson, A cappella Music in the Public Worship of the Church, 5.

[23]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483.

[24] M. C. Kurfees, Instrumental Music in the Worship or the Greek Verb Psallo (Nashville: The Gospel Advocate, 1911), 16. 번역한 본문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To touch the chords of a musical instrument, that is, to make instrumental music."

[25] Ibid. 번역한 본문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To touch the chords of the human heart, that is, to sing, to celebrate with hymns of praise."

[26]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483.

[27] Ferguson, A cappella Music in the Public Worship of the Church. 5-27.

[28] James D. Bales, Instrumental Music and New Testament Worship (Searcy Arkansas:  Resource Publications, 1987), 146.

[29] Wharton, 153.

[30] Freed Hardeman University, ed., 144.

[31]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484.

[32] William R. Baker, ed., Evangelicalism & The Stone-Campbell Movement, 심상길 외 역, 『복음주의와 스톤-캠벨운동』 (서울: 영성월드뉴라이프, 2015), 305.

[33] David R Pharr, "Does Instrumental Music Matter?" Spiritual Sword, vol. 29 (1998): 31.

[34] Pharr, 31.

[35] Choate and Woodson, 4.

[36]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481.

[37] Ibid.

[38] Ibid., 481.

[39] Paul R. Whitehead, God's Pattern for His Church, 정명섭 역, 『하나님의 모본을 따르는 교회』 (서울: 그리스도의교회출판사, 2009), 128.

[40] Ferguson, 『성서적 교회론 그리스도의교회』, 373.

[41] Whitehead, 115-16.

[42] 그리스도의교회출판사 편집부, 61.

[43] 그리스도의교회출판사 편집부, 61.

[44] Ferguson, 『성서적 교회론 그리스도의교회』, 372.

[45] Edwards, 131. 필연적 추론은 만찬의 횟수가 성경에 정확히 명시되어 명령하고 있지 않지만, 매주 첫날 모여서 떡을 나누었던 정황(행20:7)에서 주 1회 첫날(주일)마다 시행해야 하는 것이 그 예이다.

[46] Lewis, 38.

[47] Edwards, 131.

[48] Ferguson, 『성서적 교회론 그리스도의교회』, 372.

[49] James Willam McKinnon, "The Church Fathers and Instrumental Music" 1-2.  Paul R. Whitehead, 112. 재인용.

[50] Egon Wellsz, Ancient and Oriental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957), 302-03. Whitehead, 113. 재인용.

[51] Edwards, 13. 

[52] Foster and Holloway, 170. 현재 다수의 그리스도의교회들이 종교통계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정확한 숫자를 알기 힘듬. 참고로 “그리스도의교회는 미국종교지도‘Atlas of American Religion'에 미국을 대표하는 종교 7개의 ’전국적 교파‘ 중의 하나로 기록됨”

   Douglas A. Forster, 전인수 역, 『환원운동사 이야기』 (서울: 쿰란출판사, 2015), 54.

[53] Abilene Christian University Website, "Hymns of Elias Smith",

     https://digitalcommons.acu.edu/sc_teaching_images/2/, (2019.06.21)

[54] Wayne S Walker, "History of Our Hymnbooks," Faith & Facts Journal, Vol.27 (1999): 322.

[55] Richard Thomas Hughe and R. L. Roberts, The Churches of Christ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43), 227.

[56] Choate and Woodson, 3.

[57] 워커는 brotherhood로 부르며 조직적으로 함께 사역했던 캠벨의 동역자를 말함.

[58] 오영걸, 227. 가스펠(Gospel Song)은 복음송을 말하며 찬송가와 구별되는데 찬송가는 예배 시 하나님을 경배드리기 위한 목적인 반면, 복음송은 신자와 불신자에게 설교, 권면, 위로, 교육, 전도, 친교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의미에서 현재 한국에서 사용하는 새찬송가와 같은 찬송가집에는 상당수의 복음송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복음송집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59] Mark G. Toulouse, ed., Walter Scott A Nineteenth-Century Evangelical (St. Louis, Missouri: Chalice Press, 1999), 5.

[60] Donald M. Kinder, Capturing Head and Heart: The Lives of Early Popular Stone-Campbell Movements Leaders, 문병하 역, 『환원 운동가들의 삶과 영성』 (서울: 그리스도대학교출판부, 2015), 149.

[61]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247.

[62] 캠벨 사망 1년 전인 1865년 출판된 캠벨의 찬송집을 말한다.

[63] 헤이든은 1830년 오하이오 주 Hiram 지역에 음악학교 "The Wester Eclectic Institute"을 설립하였고 현재 Hiram College의 전신이다. 미국 20대 대통령 가필드(James A. Garfield)는 이 학교에 2대 총장으로 있었다.

   대학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s://www.hiram.edu/

[64] The Sacred Melodeon: 이 용어는 아카펠라 찬송집 제목이다. 'Melodeon'은 찬송을 상징하여 거룩한 찬송으로 번역할 수 있다.

   Everett Ferguson, 『성서적 교회론 그리스도의교회』, 372.

[65]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663.

[66] 박신배, “발톤 스톤의 생애와 신학, 그리스도의교회(아카펠라)연구,” 󰡔복음과 교회󰡕 vol.19 (2013): 49.

[67] 여기서 말하는 차이는 기악 찬송에 쓰일 악보 기보법과 신학의 차이를 보여주는 가사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68] 위키백과, "Tillit S. Teddlie", https://en.wikipedia.org/wiki/Tillit_Sidney_Teddlie, (2020, 09,28)

[69]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664.

[70] Foster, ed., 『그리스도의교회들 운동 대사전』, 664.

[71] Ibid., 665.

​2과 목차로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세요)

스마일 (Smiling)

test application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