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연구의 방법과 범위
본 강좌는 아카펠라 찬송에 대해 크게 두 가지 틀 안에서 연구될 것이다. 첫 번째는 성경적 접근을 통한 현대 교회의 아카펠라 찬송 인식 개선과 필요성 확립에 관한 연구이다. 두 번째는 실천적 측면에서 아카펠라 찬송의 음악적 연구와 활용 방안이다. 본 연구는 현대 신학에서 활발히 다뤄지고 있는 주제인 현대 교회의 세속화의 관점 안에서 예배 찬송도 세속화될 수 있다는 인식 속에 아카펠라 찬송의 필요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음악의 한 장르로서의 아카펠라는 이제 회중 찬송으로써의 역할을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복잡하게 발전하였다. 그러므로 본 강좌는 아카펠라 찬송의 음악적 테크닉에 집중하기보다는 아카펠라 찬송의 본질과 그 본질을 교회 성도들이 잘 이해하고 부를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등을 연구, 개발할 것이다. 서론에서는 아카펠라 찬송의 실천적 측면에서 현실적 문제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 본 강좌의 연구 목적에 관해 제시할 것이며, 국내외 아카펠라 찬송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본 강좌는 연구방법과 범위를 정리하여 기획할 것이다.
본론으로 들어가 2장에서는 찬송의 의미와 역사를 연구할 것이다. 성경에 나타난 찬송의 어원을 히브리어와 헬라어를 살펴 연구할 것이며, 어원을 종합하여 찬송의 의미를 3가지로 정리할 것이다. 다음으로 아카펠라 찬송의 역사를 연구한 뒤 구약 찬송과 초기교회 찬송을 살펴볼 것이다. 세 번째는 중세 이후 종교개혁 시대의 찬송을 연구할 것이다. 특별히 구약과 초기교회, 그리고 종교 개혁시대에 나타난 ‘악기 배제 현상’의 원인을 밝히고, 아카펠라 찬송을 부르게 된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1] 이후 환원운동과 아카펠라 찬송 신학에 대해 연구할 것인데, 먼저 초기 환원운동사에 대해 살펴보고, 환원운동에 나타난 아카펠라 찬송 신학을 정리할 것이다. 마지막에는 환원운동에 사용된 찬송집을 정리할 것이다.
3장에서는 아카펠라 찬송곡 분류에 따른 음악적 분석과 특징을 연구할 것이다. 찬송은 3가지 형태로 나눌 것인데, 그것은 보편적 찬송과 돌림노래 형태, 그리고 화답식 찬송이다. 찬송곡은 총 여섯 곡을 분류하여 화성과 리듬, 편곡에 관한 부분들의 특징을 연구할 것이다.
4장은 현대 교회에서 아카펠라 찬송 인도자의 영성에 관해 서술할 것이다. 먼저 찬송 인도자의 자격에 대해 살펴볼 것인데, 그것은 예배자의 영성과 신부의 영성 그리고 삼위 하나님 중심의 영성에 대한 것들이다. 찬송 인도자는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바탕으로 예배 시 회중을 임재의 자리로 이끌 수 있어야 한다.[2] 그러므로 찬송 인도자의 리더십을 연구하기 위해 문화, 커뮤니케이션, 크리스천 리더십 등을 다룰 것이다. 다음으로는 찬송 인도자가 갖춰야 할 좋은 관점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브루그만의 예언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찬송 인도자가 갖춰야 할 영적 감각을 살펴볼 것이며, 영성과 음악의 동근성 연구 위해 콕스의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후 웨버의 현대 교회의 예배 모델을 정리하여 현대 예배의 흐름과 감각을 얻고, 아카펠라 찬송 모델 개발을 통해 아카펠라 찬송 적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회에게 대책을 제시할 것이다. 나아가 모양음표와 송 리더 인도법을 통해 아카펠라 찬송 인도의 이론과 실제를 다룰 것이다.
5장에서는 찬송 인도에 필수적인 찬송 콘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콘티 작성을 위한 준비 단계에 대해 논하고 찬송 인도자가 어떻게 찬송 곡을 음악적으로 분석하고 선택해야 하는지 다룰 것이다. 또 콘티를 실제로 어떻게 작성하는지 예시를 보일 것이며, 찬송 현장의 실제적 감각을 기르기 위해 리허설 노트 작성까지 다룰 것이다. 다음으로는 송리더 인도법의 실제적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파트장 훈련을 통해 찬송 인도자가 팀 사역을 운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고, 찬송 인도 모션을 통해 찬송 인도 중 파트장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이다. 이후에는 교회와 찬송 전문인들과의 섬세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아카펠라 찬송 연합 커뮤니티 형성에 관해 연구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교회 사역자와 찬송 인도자들을 아카펠라 찬송 홈페이지를 통해 소통할 수 있도록 기획, 연구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아카펠라 찬송 전문 홈페이지 ‘신령한 노래들’을 제작하고,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찬송 자료를 개교회에 나누는 시스템을 개발할 것이다.[3] 나아가 이 프로그램을 통해 개교회에 어떤 영향력을 줄 수 있는지 분석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 전도와 선교 활동방법을 연구할 것이다. 또한 아카펠라 찬송 인도자 교육을 위해 온라인 실시간 통신 교육을 프로그램화할 것이다. 이어서 본 강좌를 통해 개발된 홈페이지와 프로그램들을 활용하여 개교회의 인적자원을 교육하고 지원할 방안을 연구 개발할 것이다. 열정이 있어도 상황에 맞는 시스템이 없다면 본질을 현실화할 수 없다. 사람을 세우고 훈련하면 일꾼이 되고, 결국 교회가 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본 강좌는 작성해 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모양음표를 활용한 찬송집 발간을 제안할 것이며, 한국의 아카펠라 찬송 사역을 통한 아시아 허브의 발전 가능성을 전망해 볼 것이다.
환원운동 안에서 아카펠라 찬송에 대한 미온적 접근은 성경적 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을 이뤄낼 수 없다. 그러므로 아카펠라 찬송이 무엇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를 명확하게 연구하여 살펴볼 것이다. 따라서 본 강좌는 아카펠라 찬송에 관한 연구를 통해 개교회 실천 활용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1] 본 강좌에서 아카펠라 찬송은 무악기 육성 찬송을 의미한다.
[2] 문병하, 크리스천 리더십 (경기도: 도서출판 목양, 2011), 24.